요즘 넷플릭스 드라마 폭삭 속았수다가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이 드라마는 '요망진 반항아' 애순이와 '팔불출 무쇠' 관식이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오리지널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인데요. 애절한 내용이 많은 시청자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폭삭 속았수다는 무슨 뜻일까요? 폭삭 속았수다를 보기 전에 읽어보면 좋은 글, 재미있는 제주도 방언들을 알아보겠습니다.
'폭삭 속았수다'의 뜻
'폭삭 속았수다'는 제주도 방언으로, ' 대단히 수고하셨습니다'입니다. 여기서 '폭삭'은 '대단히', '매우'라는 의미의 부사이고, '속았수다'는 '수고하셨습니다'라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즉, 상대방에게 수고했다고 전달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제주도 방언의 유래와 역사
제주도 방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독자적인 발달:
- 제주도는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육지와 교류가 적었고, 이로 인해 독자적인 언어 체계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 중세 한국어의 형태 유지:
- 제주도 방언은 중세 한국어의 형태를 가장 많이 유지하고 있는 언어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중세 한국어에서 사용되었던 '아래아(ㆍ)' 발음이 남아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다양한 외래어의 영향:
- 제주도는 해상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중국, 일본 등 다양한 국가의 언어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제주도 방언에는 다양한 외래어가 남아있습니다.
- 어려운 의사소통:
- 제주도 방언은 육지 사람들에게는 매우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제주도 방언이 독자적인 어휘와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주도 방언의 특징
- 독특한 발음:
- 제주도 방언은 '아래아(ㆍ)' 발음 외에도 독특한 발음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ㅣ' 모음이 'ㅡ' 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다양한 어휘:
- 제주도 방언에는 육지에서 사용되지 않는 다양한 어휘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혼저옵서예(어서 오세요)', '괸당(친척)'과 같은 단어들이 있습니다.
- 독특한 문법:
- 제주도 방언은 육지와 다른 독특한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장 끝에 '-수다'와 같은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제주도 방언은 제주도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소중한 유산입니다. 제주도를 방문하시게 되면 제주도 방언을 접해보고, 제주도 사람들과 소통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폭삭 속았수다'처럼 재미있는 제주도 방언과 그 뜻, 그리고 제주도 방언 모음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재미있는 제주도 방언과 뜻
- 혼저옵서예:
- '어서 오세요'라는 뜻입니다. 제주도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환영 인사를 건넬 때 사용합니다.
- 괸당:
- '친척'을 의미합니다. 제주도에서는 가족과 친척 간의 유대감이 특히 강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 하르방/할망:
- 각각 '할아버지/할머니'를 뜻합니다. 제주도의 상징인 돌하르방에서도 이 단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어멍/아방:
- 각각 '어머니/아버지'를 뜻합니다.
- 똘:
- 딸을 의미합니다.
- 오라방:
- 오빠를 의미합니다.
- 고르다:
- '힘들다'를 의미합니다.
- 봔딱봔딱:
- '반짝반짝'이라는 의미입니다.
- 시영하다:
- '시원하다'라는 의미입니다.
- 재개:
- '빨리'라는 의미입니다.
- 놀멍쉬멍:
- '놀면서 쉬면서'라는 의미입니다. 여유로운 제주도의 정서를 담고 있는 표현입니다.
- 느영나영:
- '너랑 나랑'이라는 의미입니다.
- 옵데강:
- '오셨습니까'라는 의미입니다.
- 이시냐:
- '있느냐'라는 의미입니다.
- 도르멍:
- '뛰면서'라는 의미입니다.
제주도 방언 모음
- 인사말: 혼저옵서예, 옵데강, 안녕하우꽈
- 가족 호칭: 하르방, 할망, 어멍, 아방, 괸당
- 자연 및 날씨: 시영하다, 봔딱봔딱
- 동작 및 상태: 고르다, 재개, 놀멍쉬멍, 도르멍
- 관계: 느영나영
- 의문형: 이시냐
제주도 방언은 독특한 발음과 어휘,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어 제주도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주도를 여행할 때 이러한 방언들을 사용해 보면 더욱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제주지킴이님 댓글을 참고하세요! 제주도 방언에는 쌍시옷 발음이 없어 폭삭 속앗수다가 맞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Lifesty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인애플, 매력적인 열대과일 효소효능, 칼로리 알고 드세요! (0) | 2025.03.24 |
---|---|
카이스트에서 개발한 탈모 완화 "홍합샴푸" 대박인 이유가 무엇일까? (0) | 2025.03.24 |
낙산균 추천, 낙산균 효능 부작용 알고 먹자! (0) | 2025.03.24 |
[폭삭속았수다] 펠롱펠롱 뜻, 제주도 방언 펠롱펠롱 (0) | 2025.03.24 |
요양보호사 자격증, 연봉, 필수요건 A~Z까지 알아보자 (1)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