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style

메가 커피 사장되기, 창업비용 얼마인지 알아보자

by coffeebank 2025. 3. 25.

저가 커피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성장하며 많은 창업 희망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화려한 광고와 높은 매출액 뒤에는 치열한 경쟁과 현실적인 수익 구조가 숨어 있습니다. 6년 차 저가 커피 사장의 실제 매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저가 커피 매장의 수익성과 비용을 분석하고, 창업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메가커피창업

1. 메가 커피 매장의 수익성 분석해보기

저가 커피 시장의 대표적인 프랜차이즈인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의 평균 매출을 기준으로 하루 80만 원 매출 시 월 순수익을 추정해 보겠습니다. 메가커피의 2021년 기준 연평균 매출은 약 3억 2,800만 원, 컴포즈커피는 약 2억 5,746만 원입니다. 두 브랜드의 연평균 매출을 합산하여 평균을 내면 약 2억 8,982만 900원이며, 이를 하루 일 매출로 환산하면 약 794,000원입니다. 따라서 하루 80만 원 매출을 기준으로 수익 계산을 진행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메가커피창업

2. 메가 커피의 매출 및 이익 계산하기

하루 80만 원 매출을 30.4일로 계산하면 한 달 총 매출은 2,432만 원입니다. 하지만 매출이 모두 순이익은 아닙니다.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의 재료비는 보통 35%로 설정되지만, 관리 소홀 시 38%에서 40%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저트와 완제품은 음료보다 마진율이 낮아 전체적인 이익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배달 매출 없이 홀 매출만으로 운영한다고 가정했을 때, 재료비를 38%로 잡으면 마진율은 약 62%로 추정됩니다.

메가커피창업

3. 메가 커피 매출 및 비용 분석하기

총 매출 2,432만 원에서 월세를 차감하면 약 1,257만 원이 남습니다. 저가 커피 매장의 위치는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보통 월세는 250만 원에서 350만 원 사이입니다. 또한, 평균 인건비는 약 410만 원으로, 이는 단순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계산한 수치입니다. 시간당 7만 원의 매출을 내기 위해서는 최소 1시간에 46잔의 아메리카노를 판매해야 하며, 원활한 운영을 위해 보통 2명이 근무해야 합니다. 2022년 이후 일회용 컵 사용 금지로 인해 설거지와 같은 추가 작업이 발생하여 인건비 부담이 더욱 커졌습니다.

4. 인건비 및 기본 비용 계산하기

메가커피창업

2023년 기준 주휴수당을 포함한 시급은 11,544원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한 명의 한 달 인건비는 약 491만 원이며, 상시 2인 근무 시 총 인건비는 982만 원입니다. 점주가 주 5일, 하루 9시간 근무할 경우 자신의 인건비는 약 208만 원으로 계산됩니다. 또한, 12평 규모의 매장 기준으로 전기세는 약 40만 원, 수도세는 약 15만 원이 예상됩니다.

5. 메가 커피 매장 순수익 분석해보기

매출에서 월 회비와 광고비를 차감하면 약 428만 원이 남습니다. 카드 결제 수수료(매출 3억 원 이하 시 0.5%)를 반영하면 순수익은 약 397만 원으로 줄어듭니다. 여기에 매장 인터넷 전화, 화재보험, 세무사비, 기타 잡비용 등을 추가로 차감하면 최종 순수익은 약 372만 원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하루 80만 원 매출을 기록하는 저가 커피 매장에서 올릴 수 있는 현실적인 한 달 순수익입니다. 특히,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는 평균 매출이 높은 편에 속하는 프랜차이즈이므로, 다른 저가 프랜차이즈는 이보다 더 낮은 매출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메가커피 창업

6. 메가 커피 시장의 경쟁 상황 알아보기

저가 커피 시장은 진입 장벽이 낮아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일 매출이 100만 원을 넘기면 주변에 경쟁 매장이 생기는 것은 거의 기정사실입니다. 따라서 저가 커피 창업을 고려한다면 신중한 사업 계획과 철저한 시장 조사가 필수적입니다. 단순히 저렴한 가격만으로는 성공을 보장할 수 없으며, 차별화된 전략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저가 커피 창업은 높은 매출액을 기대하기보다는 현실적인 수익 구조와 치열한 경쟁 환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초기 투자 비용, 운영 비용, 예상 수익 등을 꼼꼼히 분석하고, 자신만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성공적인 창업의 핵심입니다.

 

 

아침커피 vs 점심커피, 뭐가 더 좋을까?

미국인은 50%가 커피를 마시는 이유로 '맛과 향'을 꼽았다. 반면 한국인은 25%만이 '맛과 향'을 이유로 꼽았다. 대신 한국인은 커피를 피로해소와 활력을 위해 마신다. 그렇다면 언제 커피를 마셔

mjstudy.tistory.com

 

디카페인 역사와 만드는 방법

디카페인 만드는 방법 "데카페인"이라고도 알려진 디카페인 커피는 일반 커피 원두에서 카페인의 대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디카페인 커피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용제

mjstud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