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rchive54 10월 24일(월) 주요 경제 상황 정리 악재 레고랜드발 자금시장 위기, 정부 50+α 조 원 긴급 투입 강원도가 빚보증 의무를 이행하지 않겠다고 하며 채권시장의 자금이 막힘. 채권시장 위기로 기업들이 회사채를 발행해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면서 채권금리가 급등하기 시작함. 자자체의 채권도 믿을 수 없는데 기업의 채권을 어떻게 믿겠냐는게 시장의 반응. 이에 정부는 50조 원 가량을 긴급 투입하기로 결정함. 세부적으로는 채권시장 안정펀드 20조 원, 정책금융기관의 회사채 기업어음 16조 원, 증권사 지원 3조 원 등.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시장 안정조치를 오늘(24일)부터 신속하게 집행할 것이라고 말함. 악재에 가깝지만 정부의 대규모 자금 개입으로 조금은 숨통이 트일 것으로 판단. '레고랜드발' 자금시장 흔들…정부, 50조+α 긴급 투입 최근.. 2022. 10. 24. 10월 21일(금) 주요 경제 상황 정리 악재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치 하회 미국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예상치를 하회함. 예측치 230K을 크게 하회한 214K도 집계됨. 고용시장이 꺾이는 듯하면서도 꺾이지 않는 모습. 물가 상승 압박이 높은 현재에는 실업이 증가해 소비 여력이 감소되어야 함. 미국은 현재 완전고용(실업률 3%대)에 가까운 고용률을 보여주고 있음.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한국 9월 고용동향, 고용률 역대 최고 22년 3분기 고용률이 역대 최고인 62.8%를 기록함. 실업자는 70.4만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9%인 5.2만 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됨. 반면 취업자는 2838.9만 명으로 .. 2022. 10. 21. 10월 20일(목) 주요 경제 상황 정리 악재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 4.1740%까지 상승 미국의 10년 물 국채 금리가 4.1740%까지 상승함. 이는 14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 기업의 호실적과 영국 감세안 폐지로 기대감이 있었지만 채권시장의 상황이 악화되며 미국 증시는 소폭 하락 마감. 20일(목) 국내 증시도 하락 마감하였으며, 코스닥은 -1.47% 하락한 680.44로 마감. 미국의 높은 국채 수익률은 당분간 주식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뉴욕증시, 사흘만에 하락...국채수익률, 14년만에 최고 [파이낸셜뉴스] 뉴욕증시가 19일(이하 현지시간) 사흘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시중 금리 기준물인 10년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이 장중 4.136%까지 치솟으며 14년여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자 이틀 동 www.fnnews.c.. 2022. 10. 20. 10월 19일(수) 주요 경제 상황 정리 악재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밀리면서 핵 사용 위험이 커짐. 나토는 오는 30일(일)까지 핵 억지 연습인 '스테드 패스트 눈'에 돌입. 러시아가 예비군 동원 발령을 한 지 4주가 지났으며, 목표 징집 인원인 30만 명 중 22만 명을 채움. 향후 2주 이내에 동원령이 종료될 것으로 보임. ※ 스테드 패스트 눈: 핵전쟁 시나리오 등을 가정해 나토식 '핵 공유 체제' 가동 능력을 점검하기 위한 정례 연습 영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예상치 상회 19일(수) 발표된 영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예상치보다 0.1% 상회한 10.1%로 발표. 지난 14일(금) 쿼지 콰텡 영국 재무장관이 해임되고 제러미 헌트 신임 재무장관이 취임하면서 트러스 총리의 '미니 감세' 대부분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한 .. 2022. 10. 19.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