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5% p 인상하는 '빅 스텝'을 단행하였습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3%가 되었는데요. 지난 4·5·7·8월에 이어 사상초유 5회 연속 금리를 인상하였습니다.
2012년 7월 이후 약 10년 만에 3%대로 돌아왔습니다. 지난 7월, 1950년 한국은행이 설립된 이후 사상 처음으로 빅 스텝(0.5% p 인상)을 밟았으며, 오늘로 역대 두 번째 빅 스텝을 밟게 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이 이러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 때문인데요.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달 3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 p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한국 역시 물가 상승 압박을 심각하게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보면 전년 동기 대비 5.6% 상승했습니다. 6.3%를 기록한 7월 이후 CPI가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5%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번 금리인상으로 원화 가치의 절상 여부도 주목되는데요.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가 벌어지게 되면(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높으면) 투자금이 국내에서 미국으로 빠져나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는 원화 가치 하락을 기인합니다.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현재 3.25%입니다. 이번 한국의 빅 스텝으로 한미 금리차를 0.25%로 줄였습니다.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증가하면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가계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가 줄어들어 실물경기가 가라앉을 수 있기 때문에 경기 침체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Analysis > Daily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루미늄 관련株 급등 원인, 미국의 러시아산 알루미늄 제재 검토 (2) | 2022.10.14 |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예상치 상회, 높아진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 (0) | 2022.10.13 |
[베트남개발1] 500%넘는 상승세 이은 주가 급락, 원인은 무엇일까? (0) | 2022.10.13 |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꺾이지 않는 인플레이션 (0) | 2022.10.13 |
영국의 감세 정책,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2.10.02 |
댓글